제 1장 <자연(自然)> ❉ 1절 ~ 9절 / 4절
△ 025~028
閏餘成歲(윤여성세) ; 閏 윤달 윤, 餘 남을 여, 成 이룰 성, 歲 해 세
▲ 남는 날로 (윤달을 두어) 한해를 조절하였고
△ 029~032
律呂調陽(율려조양) ; 律 법 률, 呂 음률 려, 調 고를 조, 陽 볕 양
▲ 음률을 고르게 해 음양을 조절했다.
* 閏 윤달 윤 ; 윤달, 윤년, 여분의 월일(月日)
* 餘 남을 여 ; ① 남다, 넉넉하다, 나머지 → 여생(餘生); 남은 인생
② 결말, 필경, 결국
* 成 이룰 성 ; (뜻한 바를) 이루다 → 성공(成功) ; 목적을 이루다
* 歲 해 세 ; ① 해, 새해,
② 세월, 한 평생 → 세한(歲寒) ; 설 전후의 추위
◇ 윤여성세(閏餘成歲) ;
예로부터 윤달은 '썩은 달', '공 달', ‘여벌 달’이라고 하여,
"하늘과 땅의 신(神)이 1년 12달 근무를 마치고 하늘로 올라가거나 사람들에 대한 감시를
쉬는 기간으로, 그때는 불경스러운 행동도 신의 벌을 피할 수 있다" 고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이 때문에 윤달에는 묘(墓)를 이장(移葬) 하거나 사초(莎草)를 하거나 수의(壽衣)를 장만하는 풍습이 있었고, 오늘날에도 변함없이 지켜오고 있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우리의 선조들은 태음력이라 하지만, 태양력까지 계산하여 24절기를 조절하여 한 달을 29일 혹은 30일로 하였고, 남는 날을 따로 모아 윤달을 만들어 세(歲)- 1년, 한해- 를 조절했던 것입니다. 이것이 바로 윤여성세라는 말입니다.
* 律 법 률 ; ① 법, 법령
↪ 율령(律令) ; 일반적으로는 법률과 같은 말이다.
② 양(陽)에 딸린 6 음계(音階), 서양음악의 장조에 해당한다.
* 呂 음률 려 ; 음(陰)에 딸린 6 음계(音階) , 서양음악의 단조에 해당한다.
↪ 율려(律呂) ; 서양음악의 조(調)에 상당한다.
* 調 고를 조 ; ① 고르다, 조절하다, → 조식(調息) ; 숨을 고르다.
② 가락, 음악의 율려 → 조화(調和)
* 陽 볕 양 ; ① 볕→ 산(山)의 남면(南面), 내(川)의 북안(北岸)을 양(陽)이라 한다
↪ [춘추곡량전] 山南爲陽, 水北爲陽(산남위양, 수북위양)
↪ 삼각산의 남면, 한수의 북안을 한양(漢陽)이라 했다.
② 태극의 양
↪ 조양(調陽) ; (음과) 양의 균형을 잡다. 음이 생략되어 있다.
◇ 율려조양(律呂調陽) ;
우주만물은 천지 음양(陰陽)의 변화와 조화 속에서 생겨나고 확장되고, 축소되어 소멸합니다.
음(陰) = 려(呂)이고, 양(陽) = 률(律)입니다. 따라서 음양은 여율이고 이를 운율에 맞추어
율려(律呂)라 합니다. 율려(律呂)란 이와 같은 천지의 음양조화를 말합니다.
이 조화가 잘 나타나 있는 것이 음악입니다. 조화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음악이 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이 음악이 고르면 태평성대(太平聖代)가 되고 고르지 못하면 난세(亂世)가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율려를 치도 (治道)의 본(本)으로 삼는 것입니다. 이와 같이 음률을 고르게 해 음양을 조절하는 것을 율려조양이라 했습니다.
↪ (41절) △321~ 328 樂殊貴賤 禮別尊卑(악수귀천 예별존비) 참조
↪ 금이양성(琴以養性), 기이양덕(棋以養德) : <거문고로 품성을 기르고, 바둑으로 덕을 기른다>는 옛 성현의 말씀이
있습니다. 여기서 거문고란 음악을 말하고 있는 것입니다. 음률의 중요성이 한층 돋보입니다.
..................................................................................................
◆ 도역유도(盜亦有道) ;
도둑에게도 지켜야 할 5 가지 도리가 있으니, 그 집의 귀중품이
어디에 감추어져 있는가를 알아맞힘은 聖(성)이요,
훔쳐야 할 때를 아는 것은 知(지)요,
훔치는데 앞장섬은 勇(용)이요,
맨 뒤에 나오는 것은 義(의)요,
훔친 물건을 공평하게 분배함은 仁(인)이니라.
................................................................................................................................................................................................................................................
앞구절은 3절 <한래서왕 추수동장>이고, 뒷구절은 5절 < 운등치우 노결위상> 입니다.
'고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007절) 검호거궐 주칭야광 (0) | 2020.12.30 |
---|---|
005절) 운등치우 로결위상 (0) | 2020.12.28 |
003절) 한래서왕 추수동장 (0) | 2020.12.27 |
002절) 일월영측 진숙열장 (0) | 2020.12.26 |
001절) 천지현황 우주홍황 (0) | 2020.0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