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8장 <왕후장상(王侯將相)> ❉ 62절 ~77절/ 69절
△ 545~548
桓公匡合(환공광합) ; 桓 푯말 환, 公 공변될 공, 匡 바를 광, 合 합할 합
▲ (제나라) 환공은 (천하를) 바로 잡고자 (여러 제후들을) 규합하여,
△549~552
濟弱扶傾 (제약부경) ; 濟 건널 제, 弱 약할 약, 扶 도울 부, 傾 기울 경
▲ 약하거나 기우는 (제후국들을) 구제하고 도왔도다.
* 桓 푯말 환 ; ① 푯말 ; 옛날 역참(驛站-역말을 갈아타던 곳)의 표지로 세워 놓았던 나무
② 굳세다, 위엄이 있다.
* 公 공변될 공 ; ① 공변되다 → 사사롭지 아니하다.
② 공적인 것,
③ 임금, 제후 → 강태공(姜太公), 소공(召公), 주공(周公)
↪ 환공(桓公) ; 춘추시대(春秋時代) 제(濟)나라 19대 제후(諸侯)
* 匡 바를 광 ; 바르다, 바로잡다, 구제하다
* 合 합할 합 ; ① 합하다, 만나다, 모이다. → 합계(合計)
② <國> 홉 → 소주 한 홉
* 濟 건널 제 ; ① 물을 건너다.
② 빈곤이나 어려움에서 구제하다. → 제중원(濟衆院) ; 1885 년에 세워진 최초의 서양식 국립병원
③ 날이 갠다. 비가 그치다.
↪ 광풍제월(光風濟月) ; 맑은 날의 바람과 비 갠 날의 달. 훌륭한 인품을 비유하여 쓰는 말입니다.
* 弱 약할 약 ; ① 힘이 약하다. 의지가 약하다 → 허약(虛弱)
② 젊다, 나이가 어리다.→ 약관(弱冠) ; 남자 나이 20 세
↔ 익(溺) ; 빠질 익, 익사(溺死) ; 물에 빠져 죽다.
* 扶 도울 부 ; ① 돕다, 떠받치다. → 부조(扶助) ; 남을 거들어 도와줌. ┈• 상호 ∼, ┈• 생계를 ∼하다.
② 일어나다 → 부상(扶桑) ; ㉠ 해가 뜨는 동쪽 바다.
㉡ 동해 속에 있다고 하는 신목(神木).
㉢ 신목이 있는 나라.
* 傾 기울 경 ; 기울다. 뒤집히다. 위태롭다.→ 경도(傾倒) ; 기울어 넘어짐
↪ 경국(傾國) ; 나라를 위태롭게 함 → 경국지색(傾國之色)
........................................................................
◆ 주(周)나라와 공화국(共和國) ;
주나라의 시조는 성(姓)은 희(姬), 이름은 기(棄)인데, 무왕(武王)에 이르러
상(일명 은)나라를 멸하고, 지금의 서안(西安)인 호경(鎬京)에 도읍을 정한 것이 기원전 1122년입니다.
주나라가 중국 천하를 다스린 것은 기원전 1122년부터 기원전 256년 까지 라고 하지만, 기원전 770년에 동쪽의
낙양(洛陽)으로 도읍을 옮긴 후 모든 권력은 제후들의 손에 쥐어져 제후들끼리 천하 쟁패를 다투게 된 새로운 시대,
즉 춘추시대(春秋時代)가 형성 되었습니다. 역사에서는 동쪽 낙양으로 천도한 이전을 서주(西周)라 하며, 그 이후를
동주(東周)라고 합니다.
이렇게 낙양으로 천도하기 이전, 서주 시대에 <여왕(厲王)>의 잔악한 폭압정치로 지배계급이 집단 반란을 일으켜,
여왕을 쫓아내고 잠시 <제후들의 공동관리 체제>를 유지했는데, 이를 <‘공화행정’의 시대>(BC 841 ~ 828)라고
했습니다. 여기에서 나타난 ‘공화(共和)’라는 용어는 사마천이 『사기』에서 ‘공동관리 체제’라는 의미로 처음 사용한
것입니다.
서양에서는 고대 로마의 7대왕 타르퀴니우스(BC 520년 전후)를 축출한 후에 시저 때까지 왕정이 아닌 집단지도체제를 유지했는데 이를 ‘레스 푸브리카 Res publica’ 라 불렀지요. 마치 서주의 <공화행정의 시대>와 같은 상황이 된 것입니다. 이리하여 19세기 일본 학자들이 라틴어 ‘레스 푸브리카 - 공적인 일’을 번역하여 공화라 부르게 된 것입니다.
→ 공화국(共和國 - Republic) ; 주권이 왕이 아니라 국민에게 있는 나라, 공화 정치를 하는 나라.
.................................................................................................................................................................................................................................
앞 구절은 68절 <엄택곡부 미단숙영>, 다음 구절은 70절<기회한혜 설감무정> 입니다.
'고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71절) 준예밀물 다사식녕 (0) | 2021.01.30 |
---|---|
70절) 기회한혜 열감무정 (0) | 2021.01.30 |
68절) 엄택곡부 미단숙영 (0) | 2021.01.29 |
67절) 반계이윤 좌시아형 (0) | 2021.01.29 |
66절) 책공무실 늑비각명 (0) | 2021.0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