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50

109절) 적후사속 제사증상

제13장 ❉ 99절~114절/109절 △ 865~868 嫡後嗣續(적후사속) ; 嫡 맏아들 적, 後 뒤 후, 嗣 이을 사, 續 이을 속 ▲ 맏아들로 (부모의) 뒤를 물려받아 대(代)를 이으며, △ 869~872 祭祀蒸嘗(제사증상) ; 祭 제사 제, 祀 제사 사, 蒸 찔 증, 嘗 맛볼 상 ▲ 제사는 (일 년에) 증, 상, (약, 체, 이렇게 네 번) 지낸다. * 嫡 정실 적 ; ① 정실, 본처 ② 본처가 낳은 아들 = 적자(嫡子) ③ 맏아들 → 적서(嫡庶) ; 적자(嫡子)와 서자(庶子) * 後 뒤 후 ; ① 뒤, 자손 → 후손(後孫), 끝난 다음 → 전후(戰後) ② 늦다, 뒤지다 → 후발주자(後發走者) ↪ 적후(嫡後) ; 맏아들로 부모의 뒤(後)를 이어가다로 풀이가 된다. * 嗣 이을 사 ; ① (뒤를)잇다..

고전 2021.02.18

108절) 교수돈족 열예차강

제13장 ❉ 99절~114절/108절 △ 857~860 矯手頓足(교수돈족) ; 矯 바로잡을 교, 手 손 수, 頓 조아릴 돈, 足 발 족 ▲ (술잔치에서) 손 들고 발 굴러 (흥겹게 춤추니), △ 861~864 悅豫且康(열예차강) ; 悅 기쁠 열, 豫 미리 예, 且 또 차, 康 편안할 강 ▲ 기쁘고 즐거워 몸과 마음이 편하고 걱정이 없도다. * 矯 바로잡을 교 ; ① 바로잡다 → 화살 시 矢 변이 붙어있는 것은 원래 화살을 바로잡는 물건, 즉 도지개를 뜻하는 글자로 시작되어 잘못을 바로 잡다 라는 뜻으로 발전 하였다. 죄인을 가두어 두고 바로 잡는 곳을 요즈음에는 감옥 보다는 교도소(矯導所)라고 하는 연유가 여기에 있다. ② 속이다 → 교거(矯擧) ; 거짓으로 공덕을 기리다 ③ 들다 → 교수(矯首) = 거..

고전 2021.02.17

107절) 현가주연 접배거상

제13장 ❉ 99절~114절/107절 △ 849~852 絃歌酒讌(현가주연) ; 絃 악기 줄 현, 歌 노래 가, 酒 술 주, 讌 잔치 연 ▲ 악기를 연주하고 노래하는 흥겨운 술잔치에, △ 853~856 接杯擧觴(접배거상) ; 接 사귈 접, 杯 잔 배, 擧 들 거, 觴 술잔 상 ▲ 술잔을 주고받으며 서로를 축복하네. * 絃 악기 줄 현 ; 악기 줄 → 관현악(管絃樂) ; 관악기, 현악기의 합주 * 歌 노래 가 ; 노래(하다) → 가객(歌客) ; 노래를 잘 하거나 잘 짖는 사람 ↪ 현가(絃歌) ; 현악기와 어울려서 하는 노래 * 酒 술 주 ; ① 술 → 주선(酒仙) ; 세속을 초월해서 술을 즐기는 사람 ② 잔치 → 주연(酒宴) * 讌 잔치 연 ; ① 잔치하다 ② 모여 이야기 하다 → 잔치 연회에서는 宴(연)을..

고전 2021.02.17

105절) 환선원결 은촉휘황

제13장 ❉ 99절~114절/105절 △ 833~836 紈扇圓潔(환선원결) ; 紈 흰 비단 환, 扇 부채 선, 圓 둥글 원, 潔 깨끗할 결 ▲ (부인이 사용하는) 흰 비단으로 바른 부채는 둥글고 깨끗하며, △ 837~840 銀燭煒煌(은촉휘황) ; 銀 은 은, 燭 촛불 촉, 煒 빛날 휘, 煌 빛날 황 ▲ (내실의) 촛불은 은빛으로 환하게 빛나도다. * 紈 흰 비단 환 ; 흰 비단 * 扇 부채 선 ; 부채 ↪ 환선(紈扇) ; 흰 비단으로 바른 부채 환선(紈扇)은 한(漢)의 성제(成帝) 후궁 반첩여(班婕妤)가 지은 시제(詩題)로, 재주 있는 여인을 가리키는 말이다. 조선 문인 김만중은 [서포만필]에서 허난설헌(許蘭雪軒)을 환선(紈扇)에 비유하여 “난설헌은 혜성(慧性)이 뛰어나 우리나라 규수 시인은 오직 난설헌..

고전 2021.02.15

106절) 주면석매 남순상상

제13장 ❉ 99절~114절/106 절 △ 841~844 晝眠夕寐(주면석매) ; 晝 낮 주, 眠 잠잘 면, 夕 저녁 석, 寐 잠잘 매 ▲ 낮잠을 자거나, 밤에 잠자리에 들 때도 △ 845~848 藍筍象牀(남순상상) ; 藍 쪽 람, 筍 죽순 순, 象 코끼리 상, 牀 평상 상 ▲ 죽순 자리 깔고 상아침상에서 잠을 자니 (군자의 일이 아니로다.) * 晝 낮 주 ; 낮 → 주경야독(晝耕夜讀) ; 낮에는 농사짓고 밤에는 글을 읽는다.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꿋꿋이 공부하다. * 眠 잠잘 면 ; ① 잠(자다) → 수면제(睡眠劑) ; 잠이 들게 하는 약 ② 누워서 쉬다. ↪ 주면(晝眠) ; 낮잠 * 夕 저녁 석 ; ① 저녁, 해 질 무렵 → 석양(夕陽) ; ㉠ 저녁때의 햇빛. 낙양. 낙조. ┈• 뉘엿뉘엿 넘어가는 ∼,..

고전 2021.02.15

104절) 첩어적방 시건유방

제13장 ❉ 99절~114절/ 104절 △ 825~828 妾御績紡(첩어적방) ; 妾 첩 첩, 御 모실 어, 績 실 낳을 적, 紡 자을 방 ▲ 부녀자들은 힘써 길쌈하며, △ 829~832 侍巾帷房(시건유방) ; 侍 모실 시, 巾 수건 건, 帷 휘장 유, 房 방 방 ▲ 내실(內室)에선 세면구를 받들어 (남편을) 시중한다. * 妾 첩 첩 ; ① 첩 → 본처 외에 데리고 사는 여자 ② 계집종 * 御 모실 어 ; ① 어거하다( 말이나 소를 몰다 ) ② 다스리다, 거느리다, 지배하다 → 어용(御用) ; 권력기관에 영합하여 그 이익을 위하여 자주성 없이 활동함을 경멸하여 이르는 말/ 어용기자, 어용문학 ③ 천자. 제후에 관한 사물이나 행위에 붙이는 말 → 어가(御街) ; 대궐 안의 길 ④ 시녀, 잠자리의 시중을 들게..

고전 2021.02.15

103절) 친척고구 노소이량

제13장 ❉ 99절~114절/ 103 절 △ 817~820 親戚故舊(친척고구) ; 親 친할 친, 戚 겨레 척, 故 예 고, 舊 예 구 ▲ 친척이나 오랜 벗을 (대접함에 있어서는), △ 821~824 老少異糧(노소이량) ; 老 늙은이 로, 少 젊을 소, 異 다를 이, 糧 양식 량 ▲ 노인과 젊은이의 음식을 달리하라. * 親 친할 친 ; ① 친하다, 사이좋게 지내다. → 친구(親舊) ; 가깝게 오래 사귄 사람 ② 화목하다 ③ 친히, 손수 → 친국(親鞠) ; 임금이 중죄인을 친히 신문하던 일 ④ 어버이, 부모 → 엄친(嚴親) ; 남에게 자기 아버지를 일컫는 말. • ∼께 여쭈었습니다. * 戚 겨레 척 ; 겨레, 친족 ↪ 친척(親戚) ; 친족과 외척 * 故 예 고 ; ① 예, 예전의 ② 원래, 본래 → 고향(故..

고전 2021.02.14

102절) 포어팽재 기염조강

제13장 ❉ 99절~114절/102절 △ 809~812 飽飫烹宰(포어팽재) ; 飽 물릴 포, 飫 물릴 어, 烹 삶을 팽, 宰 재상 재 ▲ 배부르면 잘 요리한 고기 음식이라도 싫증이 나고, △ 813~816 飢厭糟糠(기염조강) ; 飢 주릴 기, 厭 싫을 염, 糟 지게미 조, 糠 쌀겨 강 ▲ 배고프면 술지게미와 쌀겨만이라도 족하다. * 飽 물릴 포 ; ① 물리다, 싫증이 나다 → 포어(飽飫) ; 물릴 때까지 먹음 ② 배부르다, 가득 차다 → 포만(飽滿) ; 넘치도록 가득함 * 飫 물릴 어 ; ① 물리다, 실컷 먹다 ② 편안히 먹다 ↪ 포어(飽飫) ; 물릴 때까지 먹는다, 실컷 먹는다'는 의미도 있지만, '배부르면 ~도 싫다'는 의미로도 새겨집니다. ↪ 어문(飫聞) = 포문(飽聞) ; 싫증이 날 만큼 많이 들..

고전 2021.02.13

101절) 구선손반 적구충장

제13장 ❉ 99절~114절/101절 △ 801~804 具膳飧飯(구선손반) ; 具 갖출 구, 膳 반찬 선, 飧 저녁밥 손, 飯 밥 반 ▲ 식사하고자 상을 차려, △ 805~808 適口充腸(적구충장) ; 適 맞을 적, 口 입 구, 充 찰 충, 腸 창자 ▲ 입에 맞추어 배불리 먹네. * 具 갖출 구 ; ① 갖추다, 온전하다, → 구비(具備)하다 ② 설비, 준비, → 가구(家具) ; 집안 살림에 쓰는 기구 ③ 먹을 것, 음식물 * 膳 반찬 선 ; ① 반찬, ② 찬을 차리어 권하다, ③ 먹다, ④ (희생)고기 ↪ 선물(膳物) ; 남에게 축하나 고마움의 뜻을 담아 어떤 물건 따위를 선사함. 또는 그 물건. 여기 글자에 붙어있는 월月은 달이 아니라 고기 육(肉) 변이라 한다. 예로부터 (소)고기는 진귀한 물건이었다..

고전 2021.02.13

100절) 이유유외 촉이원장

제13장 ❉ 99절~114절/100절 △ 793~796 易輶攸畏(이유유외) ; 易 쉬울 이, 輶 가벼울 유, 攸 바 유, 畏 두려워 할 외 ▲ (말을) 쉽고 가볍게 함은 (선비가)두려워할 바이니, △ 797~800 屬耳垣墻(촉이원장) ; 屬 이을 촉, 耳 귀 이, 垣 담장 원, 墻 담장 장, ▲ 담장에도 귀가 있음을 알지로다. * 易 ㉮ 쉬울 이 ; 쉽다, 편안하다 → 편이점(便易店) ; Convenience Store → 난이도 難易度 ; 어렵고 쉬운 정도 ㉯ 바꿀 역 ; ① 바꾸다, 교환하다 → 무역(貿易) ; 貿 바꿀 무(물건을 바꾸다, 물건을 사다) ② 만상의 변화 ; 음양의 교감으로 우주의 사상(事象)이 소장(消長) 변화 하는 현상 → 역경(易經) ③ 점(占) ; 길흉화복(吉凶禍福)을 미리 아는..

고전 2021.0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