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6장 <제가치국(齊家治國)> ❉ 34절 ~ 51절 / 50절
△ 393~396
守眞志滿(수진지만) ; 守 지킬 수, 眞 참 진, 志 뜻 지, 滿 찰 만
▲ 본성을 온전히 지키면, 의로움이 가득 차게 되고,
△ 397~400
逐物意移(축물의이) ; 逐 쫓을 축, 物 물건 물, 意 뜻 의, 移 옮길 이
▲ 물욕(物慾)을 따르게 되면, 바른 뜻이 흔들린다.
* 守 지킬 수 ; ① 지키다, 보호하다 → 수구(守舊) ; 옛 제도나 관습을 그대로 지키고 따름. = 보수(保守)
② 직무, 직책 → 군수(郡守)
③ 정조, 절개 → 수절(守節) ; 절의를 지키다
* 眞 참 진 ; ① 참, 진짜 → 진리(眞理) ; 참된 이치. 참된 도리. ┈• ∼ 탐구에 진력하다.
② 순수하다, 바르다
③ 도(道), 자연의 도,
④ 천성, 본질 ❉ 유가(儒家)에서의 성(性)
↪ 수진(守眞) ; [도가 道家] ‘자연의 본성을 온전히 함’
* 志 뜻 지 ; ① 뜻, 의향, 마음, 본심
② 뜻하다, 뜻을 두다 → 지학(志學) ; 학문에 뜻을 두다
③ 의로움을 지키다, 절개가 있다 → 지사(志士) ; 국가, 사회를 위해 몸을 바치려는 큰 뜻을 품은 사람.
④ 기록(하다) → 백범일지(白凡逸志)
* 滿 찰 만 ; ① 차다, 가득하다, 넉넉하다 → 만당(滿堂) ; 집이나 대청, 강당 따위에 가득히 참. 또는 가득 찬 사람들.
┈• ∼의 청중으로부터 갈채를 받다
② 만주(滿洲)의 약칭
* 逐 쫓을 축 ; ① 쫓다 → 축객(逐客) ; 손님을 푸대접하여 쫓아내다
② 물리치다 → 구축함(驅逐艦) ; 어뢰를 주요 무기로 하여 적의 주력함·잠수함을 공격하는, 작고 날쌘 군함. ③ 따르다, 추종하다 → 축일(逐日) ; 나날이
* 物 만물 물 ; ① 만물(萬物), 일
② 무리, 종류
③ 재물(財物) → 물욕(物慾) ; 금전이나 물건을 탐내는 마음
* 意 뜻 의 ; ① 뜻, 생각하는 모든 활동. 또는 정신의 본체.
② 무엇을 하려고 먹은 마음 → 의사(意思) ; 자유 ∼에 맡기다
③ 일정한 생각 → 의견(意見) ; ~ 이 충돌하다
* 移 옮길 이 ; ① 옮기다, 딴 데로 가다, → 이사(移徙)를 가다
② 변하다, 나아가다, 떠나다 → 이민(移民)을 떠나다
↪ 의이(意移) ; 志滿(지만)과 意移(의이)가 대구(對句)가 되어,
“의로운 뜻이 가득차지만, 그 의식이 변하여 사라진다.” 정도가 되겠습니다.
.......................................................................................................
◆ 만주(滿洲 ㅡManchu) ; 滿 찰 만, 洲 섬 주
만주는 동북아시아 압록강과 두만강 북쪽의 광활한 지역을 일컫는다.
정확히는 시베리아의 남쪽이자 산해관과 몽골의 동쪽이다.
일반적으로 만주의 영역은, 현재는 중국 국토이지만 한국인과 몽골인의 역사 무대이기도 하고, 중국을 지배한 만주족의 발상지이자 유럽 기준 극동 지역임에도 러시아도 발을 걸처 놓는 복잡한 지역이다. 그 외 퉁구스계 여러 족속들이 사는 지역이기도 하다.
매우 추운 지역이지만 외만주를 포함한 전체 만주의 인구는 1억 3천만이 조금 안 되는데, 2010년 인구센서스 기준으로 만주로 간주되는 동북 3성의 인구는 세계 12위에 해당하며, 일본 전체 인구와 유사한 수준이다.
원래 서양에서는 만주를 만주인의 땅이라 하여 만주리아(Manchuria) 라고 불렀다.
현재 대한민국에 주둔중인 주한미군 제9보병연대의 별칭이 만주(manchu) 이기도 하다.
서양 지도에 만주리아라고 적혀 있는 걸 본 에도 막부 시기의 일본인들이 이걸 만주인의 땅이라 번역하지 않고,
그냥 만주라고 번역한 게 만주가 부족명(部族名)에서 지명으로 확대된 계기이다. 나중에 일본이 만주를 점령하면서
만주국을 세우고 만주라는 지명이 더 널리 퍼져 서양과 한국에서도 사용하게 되었다.
한자로 쓰기는 하지만, 사실 만주는 만주(Manju)의 취음이며, 만주라는 단어의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으나
불교 문수보살(文殊菩薩, 만주슈리)의 문수에서 유래했다는 게 다수설이다.
문수(文殊, 曼珠→滿住→滿洲)는 <대단한 행운>, 혹은 <대단히 길(吉)함> 등의 의미를 갖고 있다.
........................................................................................................................................................................................................................................
앞 구절은 49절<성정정일 심동신피>, 다음 구절은 51절<견지아조 호작자마> 입니다.
'고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9절) 연시매최 희휘랑요 (0) | 2021.01.23 |
---|---|
51절) 견지아조 호작자미 (0) | 2021.01.23 |
49절) 성정정일 심동신피 (0) | 2021.01.23 |
48절) 절의염퇴 전패비휴 (0) | 2021.01.22 |
47절) 인자은축 조차불리 (0) | 2021.0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