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6장 <제가치국(齊家治國)> ❉ 34절 ~ 51절 / 44절
△ 345~348
諸姑伯叔(제고백숙) ; 諸 모두 제, 姑 시어미 고, 伯 맏 백, 叔 아재비 숙
▲ 모든 고모와 큰아버지와 작은아버지는
△ 349~352
猶子比兒(유자비아) : 猶 오히려 유, 子 아들 자, 比 견줄 비, 兒 아이 아
▲ 조카들을 자기 자식처럼 여겨야 할 일이다.
* 諸 모든 제 ; 모든, 여러 → 제자백가(諸子百家) ; 춘추 전국 시대의 여러 학파를 통틀어 이르는 말.
* 姑 시어미 고 ; 할머니, 시어머니, 고모
* 伯 맏 백 ; 큰아버지, 큰형
* 叔 아재비 숙 ; 아버지의 숙부(叔父)
↪ 가장 큰아버지를 백부(伯父), 둘째 큰아버지를 중부(仲父), 작은 아버지를 숙부(叔父),
막내 작은아버지를 계부(季父)라 부른다.
* 猶 오히려 유 ; ① 마치 ~와 같다 → 兄弟之子 猶子也 ; 형제의 자식은, 즉 조카는 마치 내 자식과 같다
→ 줄여서 유자(猶子)
❉ 기독유자설(基督猶子說) ; 초기 기독교에서, 예수는 신적인 영의 힘으로 출생한 사람으로,
신이 아니고 신의 양자라고 하는 설.
② 주저하다, 망설이다 → 유예(猶豫) ; 망설여 일을 결행하지 않음.
* 子 아들 자 ; ① 아들, 자식, 새끼, 사람
② 남자에 대한 존칭, 스승, → 공자(孔子)
③ 씨, 열매, 과실 → 종자(種子)
④ 오행에서 물, 수(水), 12지간 동물로는 쥐(서 鼠)
⑤ 방위에서는 정북(正北) → 정남(正南)은 오(午)라고 함,
그래서 북극과 남극을 잇는 선을 자오선(子午線)이라 함.
⑥ 일가(一家)의 학설을 세운 학자 → 제자백가(諸子百家)
* 比 견줄 비 ; ① 견주다 → 비교(比較) ; 두 개 이상의 사물을 견주어 봄
② 비율, 비례 → 비례(比例)
* 兒 아이 아 ; ① 아이,
② 자식, 아들
↪ 비아(比兒)는 앞의 유자(猶子)와 같은 뜻으로 본다 ; 내 자식과 같다.
................................................................................................................................................................................................................................
앞 구절은 43절<외수부훈 입봉모의>, 다음 구절은 45절<공회형제 동기련지> 입니다.
'고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46절) 교우투분 절마잠규 (0) | 2021.01.22 |
---|---|
45절) 공회형제 동기연지 (0) | 2021.01.22 |
43절) 외수부훈 입봉모의 (0) | 2021.01.20 |
42절) 상화하목 부창부수 (0) | 2021.01.20 |
41절) 악수귀천 예별존비 (0) | 2021.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