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

29절) 화인악적 복연선경

한라오스 2021. 1. 10. 15:22

                                                제5장 수신<修身> 26~ 33/ 29

225~228

禍因惡積(화인악적) ; 재화 화, 인할 인, 악할 악, 쌓을 적

                       (지금 받는) 재화는 (이전에) 악을 쌓은 때문이요,

229~232

福緣善慶(복연선경) ; 복 복, 연줄 연, 착할 선, 경사 경

                       (오늘의) 복은 (이전에) 선을 행한 연유이다.

 

* 재화 화 ; 재화(災禍) ; 뜻하지 않은 불행한 변고. 재난, 근심

                  , 허물

 

* 인할 인 ; 인하다, 말미암다 인과(因果) ; 원인과 결과

                  유래, 연유, 까닭 패인(敗因) ; 일에 실패한 원인

                  의거하다, 기초를 두다 기인(基因) ; 근본적 원인

                  연고, 연줄, 인연

 

* 악할 악 ; 모질고 사납다 악한(惡漢) ; 악독한 짓을 하는 사람

                      성질이나 행동이 도덕적으로 보아 못되고 나쁘다

                      추하다, 흉하다

                      더럽다, 불쾌하다 악취(惡臭) ; 나쁜 냄새

     미워할 오 ; 미워하다 증오(憎惡) ; 몹시 미워하다

                        부끄러워하다 수오(羞惡) ; 자기의 옳지 못함을 부끄러워하고 남의 착하지 못함을 미워함.

                        싫어하다 오심(惡心) ; 가슴 속이 불쾌해지면서 토할 듯한 기분이 생기는 증상.

                                          오한(惡寒) ; 몸이 오슬오슬 춥고 떨리는 증세

 

* 쌓을 적 ; 쌓다, 모으다, 축적(蓄積) ; 많이 모으는 일

                  오래 되다 적폐(積弊) ; 오랫동안 쌓여 뿌리박힌 폐단

 

* 복 복 ; , 행복 [韓非子] 全壽富貴之謂福 ; [한비자]에 보면 제대로 된 수명, 재산, 명예를 일러 복이라 한다.

               제사에 쓴 고기와 술 ; 제사가 끝나면 나누어 먹는데, 이를 음복(飮福)이라 한다.

 

* 연줄 연 ; 연줄, 연유하다, 말미암다

                  인연, 연분 연기(緣起) ; 모든 현상은 무수한 원인과 조건이 서로 관계해서 성립하는 것으로

                                                       인연이 없으면 결과도 없다.

 

* 착할 선 ; 착하다, 언행이 바르고 어질다 선덕(善德) ; 바르고 착한 덕.

                  ② 착하고 정당하여 도덕적 기준에 맞는 것

                  , 교묘히 선전(善戰) ; 있는 힘을 다해 잘 싸움

                  높다, 많다, 후하다 선가(善價) ; 후하고 좋은 값

 

* 경사 경 ; 축하할 만한 기쁜 일 적선여경(積善餘慶) ; 적선지가 필유여경 積善之家 必有餘慶 의 준말

                                    - 선한 일을 많이 행한 집안은 그 보답으로서 그의 자손들에게 반드시 경사가 있다.

                  (), 선행(善行)

선경(善慶)은 바로 선행(善行)을 뜻합니다.

                            ........................................................................

 

() 이란 ? 행복(幸福)을 말합니다.

                      마음이 가난한 사람은 행복하다. 하늘나라가 그들의 것이다.“ (5/3)

 

가난하다는 것은 없다는 것이다. 무엇이 없을까?

돈이 없는 사람은 재산이 가난하다. 마음이 없는 사람은 마음이 가난하다. 마음이 없다는 말은 무엇인가?

우리의 마음속에는 이 세상의 모든 것이 다 들어있다.

사랑이 있는가 하면 미움도 있고, 기쁨이 있는가 하면 슬픔도 있고, 탐욕도 있고, 시기, 질투도 있다.

번뇌도 있고, 괴로움도 있고 음흉함도 들어있다.

우리들에게는 이처럼 수많은 것들이 꽉 들어차 있는데, 어린아이에게는 어떨까?

어린아이의 마음은 텅 비어 있다. 이렇게 비어 있는 마음을 가난한 마음이라 한 것이다.

윗 구절을 한문으로 번역한 중국 성경을 보면,

虛心的人 有福了, 因爲天國 是他們的(허심적인 유복료, 인위천국 시타문적)

이라 하여 마음이 가난한 상태를 없을 무자를 쓴 무심(無心)이라 하지 않고

비어 있다는 뜻을 가진 허심(虛心)으로 쓰고 있다고 한다.

이처럼 마음이 비어 깨끗한 사람에게는 지금, 바로 여기가 천국인 것이다.

엄마하고 신나게 놀고 있는 3살 어린아이에게는 죽음도, 망상도, 번뇌도 없다.

다만 지금, 여기, 행복만이 있을 뿐이다

...............................................................................................................................................................................................................................

          앞 구절은 28절<공곡전성 허당습청>, 뒷 구절은 30절<척벽비보 촌음시경> 입니다.

 

'고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32절) 효당갈력 충즉진명  (0) 2021.01.13
31절) 자부사군 왈엄여경  (0) 2021.01.10
30절) 척벽비보 촌음시경  (0) 2021.01.10
28절) 공곡전성 허당습청  (0) 2021.01.09
27절) 덕건명립 형단표정  (0) 2021.0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