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2장 <상고시대(上古時代)> ❉ 10절 ~ 13절 / 10절
△ 073~076
龍師火帝(용사화제) ; 龍 용 룡, 師 스승 사, 火 불 화, 帝 임금 제
▲ (상고시대 임금으로는) 용사와 화제
△ 077~080
鳥官人皇(조관인황) ; 鳥 새 조, 官 벼슬 관, 人 사람 인, 皇 임금 황
▲ 조관과 인황이 있었네.
* 龍 용 룡 ; ① 용
② 임금, 제왕의 비유 → 육룡(六龍)이 나르샤
③ 뛰어난 인물, 호걸
④ 크다 → 목성(木星)의 다른 이름
* 師 스승 사 ; ① 스승, 선생 → 사제(師弟) ; 스승과 제자
↪ 심사임당(申師任堂) ; 이 율곡의 어머니 신 씨가 자신이 살던 집의 당호를
사임당(師任堂)이라 지은 것은 주나라 문왕의 어머니 태임(太任)을 본받겠다는 의미라 한다.
② 전문적인 기예를 닦은 사람 → 교사(敎師)
③ 신의 칭호 → 풍사(風師-바람 신), 우사(雨師-비의 신)
④ 군대 → 출사표(出師表)
↪ 용사(龍師) ; 복희씨의 다른 이름
* 火 불 화 ; ① 불, 횃불, 등불 → 화인(火印) = 낙인(烙印)
② 오행의 하나 → 남(南), 여름,
③ 타다, 태우다
④ 급하다 → 화급(火急) ; 매우 급하다.
* 帝 임금 제 ; ① 임금,
② 하느님 → 상제(上帝)
③ 크다
↪ 화제(火帝) ; 신농씨의 다른 이름
* 鳥 새 조 ; 새 → 조감도(鳥瞰圖) ; 새가 되어 높은 곳에서 내려다본 상태의 그림이나 지도.
* 官 벼슬 관 ; ① 벼슬, 관직
② 일, 직무
③ 관청
↪ 조관(鳥官) ; 소호씨의 다른 이름
* 人 사람 인 ; ① 사람
② 남, 타인(他人)
③ 인품, 인격
④ 뛰어난 사람,→ 인걸(人傑) ; 특히 뛰어난 사람
* 皇 임금 황 ; 임금, 천자 → 황제(皇帝) ; 제국의 군주
↪ 인황(人皇) ; 황제(黃帝)의 다른 이름
.................................................................
◆ 소호 금천씨의 김씨 조상설 ; 소호 금천씨는 중국과 한국의 김씨들의 조상으로 많이 언급된다.
특히 한국의 성씨인 경주 김씨와 김해 김씨는 소호 금천씨를 시조로 언급한
기록이 전하기도 한다. 당나라에 살았던 신라인 김씨 부인의 행적을 기록한 대당 고 김씨부인 묘명(大唐故金氏夫人墓銘)에는 신라 김씨의 조상이 소호씨 금천 (少昊氏金天)이라고 새겨져 있다.
김부식이 쓴 《삼국사기》에는 가야 출신인 김유신 장군의 묘비명에 가야 김씨가 소호 금천씨의 후손이라고 새겨져 있다는 기록이 있다. 하지만 오늘날의 족보상에는 김씨가 한국 고유의 성씨임을 명시하고 있다. 이러한 기록들은 삼국통일을 달성한 신라의 김씨 왕족이 자신의 가계를 신성시하기 위해 전설상의 인물을 시조로 간주한 것으로 보인다.
↪ 68절 엄택곡부 참조
◆ 삼황(三皇)
△ 복희(伏羲)는 고대 전설 속의 삼황(三皇) 중 첫 번째 임금으로, 용사(龍師)라고 부르기도 한다
△ 신농(神農)은 2번째 임금으로, 소머리의 형상을 하고 태어났다고 전해진다.
화제(火帝), 또는 염제(炎帝) 라고 부르게 되었다.
△ 소호는 3번째 임금으로 청양씨(青陽氏), 금천씨(金天氏), 鳥官(조관)이라 부르게 되었다.
△ 마지막 4번째 임금, 황제(黃帝)는 "삼황 신화"에서 벗어나 지적 능력의 합리성에 바탕을 둔 ‘人文(인문)’을
내세웠다는 뜻에서 인황(人皇)으로 부른다.
이를 정리해 보면 아래와 같다.
첫번째 임금 ; 복희 ........................................... 다른 이름 ; 용사
두번째 임금 ; 신농 ........................................... " ; 화제 (또는 염제)
세번째 임금 ; 청양씨 (또는 금천씨) .......... " ; 조관
네번째 임금 ; 황제 ........................................... ; ; 인황(치우와 패권을 겨루었다고 함)
....................................................................................................................................................................................................................................
앞 구절은 9절 <해함하담 인잠우상>, 뒷구절은 11절<시제문자 내복의상> 입니다.
'고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절) 퇴위양국 유우도당 (0) | 2021.01.01 |
---|---|
11절) 시제문자 내복의상 (0) | 2021.01.01 |
009절) 해함하담 인잠우상 (0) | 2020.12.31 |
008절) 과진이내 채중개강 (0) | 2020.12.31 |
007절) 검호거궐 주칭야광 (0) | 2020.1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