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6절) 병사방계 갑장대영
제 7장 <평천하(平天下)> ❉ 52절 ~ 61절 / 56절
△ 441~444
丙舍傍啓(병사방계) ; 丙 남녘 병, 舍 집 사, 傍 곁 방, 啓 열 계
★ ▲ (정전 곁으로는) 병사 통로를 두어 (출입의 편리를 도모하고)
△ 445~448
甲帳對楹(갑장대영) ; 甲 첫째 천간 갑, 帳 휘장 장, 對 대답할 대, 楹 기둥 영
▲ 커다란 두 기둥에는 제일 호화로운 휘장을 둘렀도다.
* 丙 남녘 병 ; ① 남녘,
② 사물의 차례나 등급에서 셋째→ 갑(甲), 을(乙), 병(丙)
* 舍 집 사 ; 집, 머물다 → 기숙사(寄宿舍)
↪ 병사(丙舍) ; 정전(正殿) 양쪽에 있던 전각들을 갑ㆍ을ㆍ병ㆍ정으로 등급을 두었는데, 병사는 세 번째이지만
여기서는 궁에 있는 많은 건축물을 말하는 것으로 본다.
* 傍 곁 방 ; 곁, 옆, 가까이 → 방약무인(傍若無人) ; 곁에 사람이 없는 듯이 제 세상인 것처럼 아무 거리낌 없이 꺼떡거림
* 啓 열 계 ; ① 열어 나가다 → 계발(啓發) ; 슬기·재능이나 사상 따위를 일깨워 발전시킴. • 소질을 ∼하다.
② 통하다, 뚫리다
③ 가르치다 → 계몽(啓蒙)
→ 방계(傍啓) ; 옆으로 통하다.
◇ 병사방계 ; 신하들은 정전의 앞 정문으로는 출입 할 수 없으므로 정전 좌우에 출입문을 따로 두었다.
이 같은 건축 구조는 오늘날에도 큰 건물 뿐 아니라, 산사 대웅전 같은 곳에서도 쉬이 볼 수 있다.
* 甲 첫째 천간 갑 ; ① 10간의 첫째, 방위로는 동쪽, 오행으로는 목(木)
② 갑옷
③ 차례의 첫째
* 帳 휘장 장 ; ① 휘장, 방장, 천막
② 공책, 장부 → 일기장(日記帳)
↪ 갑장 ; 동방삭은 온갖 진귀한 보석으로 장식된 휘장을 만들어, 정전의 큰 기둥 사이에 쳐놓았다는 것으로
여기에서 갑이라 함은 ‘제일 으뜸가는 찬란한 휘장’이라는 뜻이다.
* 對 대답할 대 ; ① 대답하다
② 대하다, 마주하다 → 대련(對聯) ; 대문이나 기둥 따위에 써 붙이는 글귀 = 주련(柱聯), 영련(楹聯).
③ 상대, 짝 → 대응(對應) ; 상대에 따라 일을 함
④ 같다, 동일하다 → 대등(對等)
* 楹 기둥 영 ; 둥글고 굵은 기둥
↪ 대영(對盈) ; 마주하는 커다란 두 기둥
..................................................................................................
◆ 천간과 지지 ; 天 하늘 천, 干 방패 간,
1) 천간(天干) ;
천간과 지지를 설명 드리기 위하여 나름대로 많은 자료를 찾아보았지만 제대로 된 설명은 어디에도
없었다.
“ 한 달을 열흘 단위로 나누어 순(旬)이라 하는데, 천간은 1개월을 3등분한 10일을 세는 방법에서 기원한 것으로
보고 있다.”
이정도가 그나마 읽어 줄만 한데, 이것으로는 10일을 갑, 을, 병, 정 하고 10번 세어서 어쩌자는 것이냐? 하는 물음에
대답할 길이 없다.
인류는 열 손가락에서 10진법을 사용하게 되었고, 이에 각각에 이름을 붙인 것이 10간(干)이다.
여기서 간(干)은 <방패 간> 이지만 <수사(數詞)에 붙이는 어조사 간> 으로 개(箇)= 개(介)= 개(個)와 같이
‘낱, 개’라는 뜻이다. 이 10 간의 이름이 처음부터 갑, 을, 병, 정, .. 이었던 것은 아니고, 고대의 이름은 알봉(閼逢),
전몽(旃蒙), 유조(柔兆), 강어, 저옹, 도유, 상장, 중광, 현익, 소양, 이렇게 열 개 였다( - 이를 고갑자古甲子라 함).
이렇게 세상만물을 열 개씩 세어 나간 것이다
이 같은 고대의 알봉, 전몽, 유조가 세월이 흘러 갑, 을, 병. . . .으로 간략화 되었다. 즉 갑, 을, 병은 하나, 둘, 셋의 이름일 뿐이지 특별한 의미가 따로 있는 것이 아니었다. 이후 이 10간이 12지지와 연합되어 60갑자가 되었고, 여기에
중국 특유의 온갖 잡설(雜說)이 달라붙어 개똥철학이 되었다.
↪ 예를 들면 알봉(첫째) ; 萬物이 껍질을 벗고 나오다,
전몽(둘째) ; 萬物이 삐걱거리며 소리를 내다,
유조(셋째) ; 양의 기운이 드러나며 밝아지다.
↪ 천지개벽의 모습이 시간 순차적으로 잘 표현 되여 있다.
천간은 일본이나 한국, 중국 등의 한자권에서, 물건의 계급·등급이나 종류를 나타내기 위해서 갑류, 을류 등으로
분류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방화 관리자나 위험물 취급자 등의 자격은 갑종, 을종으로 구분되고 있다.
이전에는 학교의 성적이나 징병 검사의 결과를 나타내는데 갑, 을, 병, 정을 이용하고 있었다.
우리말의 첫째, 둘째, 셋째, 넷째와 같은 말일 뿐이다.
2) 지지(地支) ;
고대인들이 시간을 세는 제일 첫 번째 간단한 방법은 달의 들고 남을 기준으로 일 년을 세는 것이었고,
달이 일 년에 12번 뜨고 짐에 따라 12라는 숫자가 나왔다. 이 12 번에 이름을 붙인 것이 12 지이다. 12 지를 시간의 기본 단위로 하여 하루도 12 조각으로 나누게 되었다. 그래서 자시, 축시, 인시 등으로 시간을 부르게 되었다.
-- 조각으로 나눠짐을 지(支)라 한다.
10 간의 이름이 처음부터 갑, 을, 병, 정이 아니었듯이, 12 지도 처음에는 또 다른 이름이 있었다.
지지와 시간, 동물의 배치는 다음과 같다.
地支(지지
① 자(子, 쥐) 11월, 23~01 時, ② 축(丑, 소) 12월, 01~03 時,
③ 인(寅, 호랑이) 1월, 03~05 時, ④ 묘(卯, 토끼) 2월, 05~07 時,
⑤ 진(辰, 용) 3월, 07~09 時, ⑥ 사(巳, 뱀) 4월, 09~11 時,
⑦ 오(午, 말) 5월, 11~13 時, ⑧ 미(未, 양) 6월, 13~15 時,
⑨ 신(申, 원숭이) 7월, 15~17 時, ⑩ 유(酉, 닭) 8월, 17~19 時,
⑪ 술(戌, 개), 9월, 19~21 時, ⑫ 해(亥, 돼지) 10월, 21~23 時,
↪ 12 지에 동물들을 비유시킨 것은 당나라 이후의 일이라 한다.
미얀마, 태국, 베트남 등지에서는 토끼 대신 고양이를, 돼지 대신 코끼리가 들어간다고 한다.
3) 음양오행(陰陽五行) ;
한편 동양사상에서 10 간과 12 지보다 중요하게 여기는 것이 있다.
바로 ‘음양오행(陰陽五行)’이다. 음양오행은 고대 중국 철학에서 자연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해 만들어 낸 사상체계인데, 우리에게도 큰 영향을 미친 사상이다. 한의학, 풍수지리, 예술 등 아직까지 우리 생활 여러 곳에 넓게 퍼져있는
사상이기도 하다.
음양오행에서 ‘음양’은 말 그대로 ‘음’과 ‘양’이고, ‘오행’에서 ‘오’는 목(木), 화(火), 토(土), 금(金), 수(水)를 가리킨다.
‘행(行)’은 이 5가지가 쉬지 않고 움직여 삼라만상과 인생여정에서 길흉화복을 변하게 한다는 의미다.
↪ 그럼 오행을 알면 길흉화복(吉凶禍福)을 다 알겠네!.
↪ 교대 앞 사거리에 돗자리 깔면 되겠네.
4) 천간, 지지, 음양오행의 융합 ;
음양오행설이 발달하여 10 간과 12 지가 이에 융합됨으로써,
10간은 천간, 12지는 지지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고 융합 사상체계를 이루게 되었다.
물론 애들 장난이기도 하지만!
오 행 |
목(木) |
화(火) |
토(土) |
금(金) |
수(水) |
|||||
음 양 |
양 |
음 |
양 |
음 |
양 |
음 |
양 |
음 |
양 |
음 |
천 간 |
갑(甲) |
을(乙) |
병(丙) |
정(丁) |
무(戊) |
기(己) |
경(庚) |
신(辛) |
임(壬) |
계(癸) |
지 지 |
인(寅) |
묘(卯) |
사(巳) |
오(午) |
진 3월 술 9월 |
축 12월 미 6월 |
신(申) |
유(酉) |
해(亥) |
자(子) |
월(月) |
1월(月) |
2월(月) |
4월(月) |
5월(月) |
|
|
7월(月) |
8월(月) |
10월 |
11월 |
방위(方位) |
동(東) |
남(南) |
중앙(中央) |
서(西) |
북(北) |
|||||
색(色) |
푸를 청 (靑)-룡 |
붉을 주 (朱)-작 |
누를 황 (黃) |
흰 백 (白)-호랑이 |
검을 현 (玄)-무 |
|||||
사상(四象) |
소양(少揚) |
태양太陽) |
|
소음(少陰) |
태음(太陰 |
|||||
계 절 |
봄(春) |
여 름 (夏) |
|
가 을(秋) |
겨 울 (冬) |
5) 60 갑자(甲子) ;
천간 10개와 지지 12개의 최소공배수는 60이다. 여기서 60 갑자(甲子)가 나왔다.
하여 60이란 천간과 지지의 융합이 완성된다고 하여 대단히 크게 여기게 되었으며, 옛날에 60년을 산다는 것은 대단한 일이었기에, 60갑자를 최고로 치게 되었다. 그래서 년(年)을 부를 때에 – 그 당시에는 2015년, 이런 년수가 없었으므로
갑자년, 을축년, 이렇게 부르게 되었다. 이러다 보면 10년에 한 번씩 기(己)가 들어가는 – 기해년(己亥年) 같은 – 해가 돌아오게 되는데 이때에는 황금 돼지해라고 하여 “돈 벌자, 돈 복 받아라.” 하며 난리가 난다.
기(己)를 황금으로 부르는 까닭은 윗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己)는 토(土) → 황(黃)과 연유되기 때문이다.
↪ 길흉화복? 황금돼지?
그저 재미로 해보는 장난 소리들일 뿐이다.
....................................................................................................................................................................................................................................................
앞 구절은 55절<도사금수 화체선령>, 다음 구절은 57절<사연설석 고슬취생>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