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

47절) 인자은축 조차불리

한라오스 2021. 1. 22. 22:38

 

                                         제6<제가치국(齊家治國)> 34~ 51/ 47

369~372

仁慈隱惻(인자은측) ; 어질 인, 사랑 자, 숨을 은, 슬퍼할 측

                     ▲ ( 백성을) 어진 마음으로 사랑하고 측은히 여기서,

373~376

造次弗離(조차불리) ; 지을 조, 버금 차, 아닐 불, 떠날 리

                     ▲ 잠시라도 (마음속에서) 떼어 놓아서는 아니 된다.

 

* 어질 인 ; 어질다, 인자하다, 사랑하다

                  ② 가엾게 여기다, 남의 형편을 헤아리다. 인술(仁術) ; 사람을 살리는 어진 기술이란 뜻으로,

                                                                                       ‘의술(醫術)’을 이르는 말┈• ∼을 베풀다.

                  ③ 자기를 닦는 일

                  ④ 어진 사람, 유덕한 사람 인자(仁者)

 

* 사랑 자 ; 사랑, 깊은 은애(恩愛), 인정, 동정

                  ② () 중생에게 즐거움을 주는 일

인자(仁慈) ; 사람을 사랑하고 즐거움을 주다 어질고 자애스러움.

 

* 숨길 은 ; 숨기다, 가리다, 비밀로 하다 은닉(隱匿) ; 숨기다.

                  ② 고요하다, 조용하다, 평온하다 은일(隱逸)

                  ③ 불쌍히 여기다, 가엾이 여기다 측은(惻隱)

 

* 슬퍼할 측 ; 슬퍼하다, 가엾게 여기다.

은측(隱惻) = 측은(惻隱) ; 다른 사람의 처지나 형편을 헤아려 가엾이 여기다.

 

* 지을 조 ; 짓다, 만들다 조선(造船) ; 배를 설계하여 만들다

                  ② 세우다() 조성(造成) ; 만들어서 이루다.

                  ③ 아파트 단지를 조성하다.

 

* 버금 차 ; 버금, 다음, 둘째

                  ② 차례, 순서 목차(目次) ; 목록이나, 조항 따위의 차례.┈• 책의 를 찬찬히 훑어보다.

                  ③ , 기회

조차(造次) ; 잠시라도 (for a while)

 

 

* 아닐 불 ; 아니다 ; 부정하는 뜻

 

* 떼놓을 리 ; 떼어 놓다, 떨어지다 격리(隔離) ; 전염병 환자 등을 따로 옮겨서 떼어 놓음.

                     ② 헤어지다 이별(離別) ; 서로 갈려 떨어짐. 헤어짐. ┈• ∼의 눈물, ┈• 사랑하는 여인과 하다.

                       .......................................................................

 

() ;

               유교(儒敎)에서 제일가는 덕목은 사람을 사랑하고 인간성을 존중하는 정신입니다.

               이는 공자(孔子)의 핵심사상입니다.

()은 자기의 도리를 다하는 것이요, 자기의 처지와 입장을 미루어 남을 대접하는 것이다 했습니다. 유교(儒敎)에서 중시하는 오상(五常) 중 의(), (), (), ()은 인()의 개념 속에 들어 있다 할 것입니다.

그래서 인을 '마음의 본체(本體). 본성(本性)'이라 합니다.

 

맹자(孟子)말씀 하시기를

1. 측은히 여기는 마음은 인()의 단서(端緖)이니,

   측은지심(惻隱之心)이 없으면 사람이 아니며,

 

2. 부끄러워하는 마음은 의()의 단서이니,

   수오지심(羞惡之心)이 없으면 사람이 아니며,

 

3. 사양할 줄 아는 마음은 예()의 단서이니,

   사양지심(辭讓之心)이 없으면 사람이 아니며,

 

4. 옳고 그름을 가리는 마음은 지()의 단서이니,

    시비지심(是非之心)이 없으면 사람이 아니다.

 

위 같은 본성(本性)은 본디 하늘로부터 온 것이라 하여 本性 + 天理 성리학(性理學)이라 합니다.

    하여 측은지심, 수오지심, 사양지심, 시비지심이 없으면, 부족하면,

    사람 사는 사회가 따뜻한 정감이 오가는 행복 사회라 하겠습니까?

     행복한 사회, 정의로운 사회의 첫 번째 요건은 인()입니다.

     이는 모든 종교에서 한 결 같이 추구하는 최고의 가치이기도 합니다.

..................................................................................................................................................................................................................................................

        앞 구절은 46절<교우투분 절마잠규>, 다음 구절은 48절<절의염퇴 전패비휴>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