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3절) 한래서왕 추수동장
제 1장 <자연(自然)> ❉ 1절 ~ 9절 / 3절
△ 017 ~ 020
寒來暑往(한래서왕) ; 寒 찰 한, 來 올 래, 暑 더울 서, 往 갈 왕
▲ 추위가 오면 더위는 물러가고,
△ 021 ~ 024
秋收冬藏(추수동장) ; 秋가을 추, 收거둘 수, 冬겨울 동, 藏 감출 장
▲ 가을에는 (곡식을) 거두어들이고 겨울에는 저장한다.
* 寒 찰 한 ; ① 차다, 춥다, 얼다 → 한로(寒露) ; 찬 이슬
② 가난하다, 괴롭다 → 한촌(寒村) ; 가난한 마을
* 來 올 래 ; ① 오다, 이르다 → 내빈(來賓) ; 청함을 받고 찾아온 손님
② 장래, 미래 → 내세(來世)
③ 부터, 에서 → 이래(以來)
* 暑 더울 서 ; ① 덥다, 무덥다, 더위 → 폭서(暴暑) ; 몹시 심한 더위
② 여름
* 往 갈 왕 ; ① 가다, 일정한 곳을 향하여 가다
↪ 왕십리(往十里) ; 도성으로부터 10 리 떨어진 거리에 있다고 하여 붙여진 마을 이름.
답십리(踏十里)도 같은 뜻이다.
② 옛, 지난 일
③ 이따금 → 왕왕(往往), ❉주(住-살다)와 구별
* 秋 가을 추 ; ① 가을 → 추월(秋月)
② 연세, 세월 → 춘추(春秋) ; 어른의 나이, 역사
* 收 거둘 수 ; ① 거두다, 수확을 얻다 → 추곡수매(秋穀收買)
② 빼앗다 → 몰수(沒收)
* 冬 겨울 동 ; 겨울, 겨울을 나다 → 동선하로(冬扇夏爐) : 겨울철의 부채와 여름철의 화로라는 뜻으로,
시기에 맞지 아니하여 쓸모없이 된 사물의 비유.
* 藏 감출 장 ; ① 감추다, 품다, 저장하다
↪ 와호장룡(臥虎藏龍) ; 누워있는 호랑이와 숨어있는 용,
"영웅과 전설은 보이지 않는 곳에 숨어 있다"라는 의미로 쓰인다.
② 저축, 비축 → 장경(藏經) ; 불교 경전의 총체.
◇ 추수동장(秋收冬藏) 앞에 올 춘생하장(春生夏長 - 봄이 되어 태어나고, 여름되어 자란다)이 생략되어 있다.
......................................................................................
春水滿四澤 춘수만사택 이요 ; 봄이 되니 사방 연못에 물이 가득하고
夏雲多奇峰 하운다기봉 이라 ; 여름 오니 구름은 기묘한 봉우리를 이루네
秋月揚明輝 추월양명휘 요 ; 가을 되니 달은 유난이 밝게 빛나고
冬嶺秀孤松 동령수고송 이라 ; 겨울 산마루에 외로운 소나무 빼어나도다!
↪ 이 간단한 시(詩) 하나에도 봉(峰), 송(松)으로 운률을 맞추고 있음을 볼 수가 있습니다.
....................................................................................................................................................
앞 구절은 2절<일월영측 진수열장>, 다음 구절은 4절 <윤여성세 율려조양>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