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

123절) 속대긍장 매회첨조

한라오스 2021. 3. 5. 12:00

 

                                      제15<종지(終止)> 119~ 125/123

977~980

束帶矜莊(속대긍장) ; 묶을 속, 띠 대, 불쌍히 여길 긍, 풀 성할 장

                       ▲ 관복을 잘 갖춰서 입고 예의 바르게,

981~984

徘徊瞻眺(배회첨조) ; 노닐 배, 노닐 회, 볼 첨, 바라볼 조

                       ▲ 천천히 오가면 (여러 사람이) 존경하여 따르리라.

 

* 묶을 속 ; 묶다, 단으로 동여매다 속수무책(束手無策) ; 손은 묶여 있고, 아무런 계책이 없어

                                                                                   어찌할 도리가 없음

                     ② (띠를)매다

                     ③ 언약하다 약속(約束)

 

* 띠 대 ; 혁대(革帶) ; 가죽으로 만든 띠

                  ② 어떤 물건을 몸에 지니다 휴대(携帶)

                  ③ 데리고 다니다 대동(帶同)

속대(束帶) ; 관을 쓰고 띠를 맴. , 예복을 입음.

 

* 불쌍히 여길 긍 ; 불쌍히 여기다, 괴로워하다

                                     ↪ 긍휼(矜恤) ; 가엾게 여겨 돌봐 주다

                               ② 자랑하다 긍지(矜持) ; 자신의 재능이나 능력을 믿음으로써 가지는 떳떳하고

                                                                   자랑스러운 마음. ┈• 문화 민족으로서의 를 갖다.

                               ③ 엄숙하다 긍장(矜莊)

 

* 풀이 성할 장 ; 풀이 무성한 모양

                            ② 엄숙하다, 장중하다 장엄(莊嚴) ; 고상하고 엄숙함

                             ③ 별장(別莊) ; 본집 외에, 경치 좋은 곳에 따로 마련한 집

                             ④ 6거리 4거리는 구(), 5거리는 강()이라 한다.

                                            그래서 강구라 하면 번화한 거리를 말한다. → 강구연월

긍장(矜莊) ; 엄숙하고 장중하다. 예의바른 일

 

* 노닐 배 ; 노닐다, 어정거리다

* 노닐 회 ; 노닐다, 일없이 어정거리다

배회(徘徊) ; 목적 없이 이리저리 돌아다님 (연면어)

 

* 볼 첨 ; 보다, 쳐다 보다, 우러러 보다, 굽어 보다

                     ↪ 실생활에 거의 쓰이지 않는 글자다 瞻星臺(첨성대)

 

* 바라볼 조 ; 바라보다, 살피다 조망(眺望) ; 먼 곳을 바라봄. 또는 그 경치. 산 정상에서 시가지를 하다.

첨조(瞻眺)= 첨망(瞻望) ; 존경하여 따르다

                                      ② 멀리서 우러러 보다

                            ...........................................................................

 

매괴신공(玫瑰神功)을 아시나요?

✤ △ 982 () ; 노닐 회 ; 자를 ()자로 쓴 판본도 있는데,  徊는 같이 쓰는 글자라 (= ),

                                      우리나라에서 徘徊(배회)라 할 때는 를 쓰지 아니하고 자로 쓰고 있다.

                         ② 꽃 이름 회 ; 배회화(徘徊花), 때찔레, 매괴화(玫瑰花) 해당화(海棠花)

              이처럼 회() 글자에는 매괴화(玫瑰花)라는 뜻도 있어 매괴(玫瑰) 이야기를 좀 해 보고자 합니다.

 

매괴신공(玫瑰神功)을 아시나요?

   무당파의 전설어린 신공일까? 아니면 소림파의 전래비급일까?

   경기도 고양시에 가면 유명한 호수공원이 있다. 이 공원 한편에 정자(亭子)가 하나 있고, 그 곁에는

   다음과 같이 정자의 유래를 적어 놓은 안내판이 서있다. 같이 한번 읽어 봅시다.

 

중국 흑룡강성 치치하얼시는 자매결연을 맺은 대한민국 경기도 고양시와 우의를 돈독히 하고

< 2000 고양 세계 꽃 박람회 > 개막을 경축하기 위하여 중국 육각 전통정자인 학괴정을 건립 기증한다.

학괴정(鶴瑰亭)은 치치하얼시 시조 (市鳥)인 단정학(丹頂鶴)과 고양시 시화(市花)인 장미(玫瑰)를 상징하며,

             .......... 후 략 ................

                                                                            2000425

                                                         기증자 : 중국 흑룡강성 치치하얼시 시장 이진동

                                                         시공자 : 중국 치치하얼시 원림 고건축 공정공사

 

위 글은 치치하얼시() 시조(市鳥)인 단정학의 <> 자와 고양시의 시화(市花)인 장미의 <> 자를 합쳐서

정자의 이름을 <학괴정> 이라 지었다는 것이다.

여기서 재미있는 점은 장미의 한자 표기를 장미薔薇가 아닌 매괴(玫瑰)로 표기하고 있다는 점이다.

매괴가 무얼까?

 

사전을 찾아보면 다음과 같이 설명되어 있다.

玫瑰 매괴 : (매괴 매), (구슬 이름 괴)

1. 중국에서 나는 붉은 미석(美石)

2. 장미과에 속한 낙엽 활엽 관목, 때찔레

3. 해당화의 뿌리와 껍질에서 빼낸 물감

4. 玫瑰油 매괴유 ; 해당화에서 짜낸 향기로운 물기름

 

이쯤에서 매괴신공 관련 이야기를 좀 더 들여다보자.

여러 설이 있는데, 기독교 초기 은둔 생활을 하던 수도자들이 죽은 자들을 위한 시편(詩篇)을 외우면서, 작은 돌멩이나

곡식의 낱알을 엮어 하나씩 굴리면서 기도의 횟수를 센 것에서 그 유래를 찾을 수 있다.

 

세월이 흐르면서 돌멩이나 낱알 대신 장미목을 깍아 만든 나무구슬(묵주 默珠)을 사용하게 됨으로써,

이 묵주를 로사리오 Rosary 라고 부르게 되었고, 이 묵주를 굴리며 드리는 묵주기도를 한자로 매괴신공(玫瑰神功),

이후 변화하여 매괴경(玫瑰經) 이라 부르게 되었다. 또한 10월을 로사리오 성월(聖月)이라 부르는데,

로사리오 성월의 한자 표기도 매괴성월 (玫瑰聖月) 이라 한다.

라틴어 Rosarium (장미꽃다발), 영어 rosary, 이태리 rosario

 

10월을 로사리오 성월이라 부르게 된 사연 ; 400년 전인 1571년 그리스의 레판토 항구 앞바다에서

에스파냐, 베네치아, 로마 교황의 연합 함대가 오스만 제국의 함대와 싸워서 크게 이기게 되었다.

당시 교황 비오 5세는 성모님의 원조를 부탁하고 자기 자신도 매일 묵주 기도를 바치며, 다른 사람들에게도 권해서

바치게 하고 또 병사들에게도 묵주를 주어 기도하게 하였다. 이를 계기로 묵주기도로 승리를 거둔 레판토 해전의 날

(107)을 기념하여 1883년 교황 레오 13세에 의해 10월이 묵주기도 - 로사리오- 성월로 설정되었다 한다.

 

충북 음성에 가시면 매괴 중,고등학교를 만나 보실 수 있습니다.

    1907년 가톨릭 신부에 의해 매괴학당으로 시작되었으며, 교목(校木)은 느티나무, 교화(校花)는 장미입니다.

     아쉽게도 여기에서도 화성 삼괴 고등학교와 마찬가지로 느티나무를 교목으로 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느티나무는 괴목이 아니라 회화나무가 한자로 괴목(槐木) 이라 합니다.

     → 62절 <부라장상 노협괴경> 부기  회화나무(괴목 槐木)와 느티나무(규목 槻木)의 차이 참조

.............................................................................................................................................................................................................................................

         앞 구절은 122절<구보인령 부앙랑모>,  다음 구절은 124절<고루과문 우몽등초>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