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

109절) 적후사속 제사증상

한라오스 2021. 2. 18. 10:57

 

                                        제13<내칙(內則)> 99~114/109

865~868

嫡後嗣續(적후사속) ; 맏아들 적, 뒤 후, 이을 사, 이을 속

                       ▲ 맏아들로 (부모의) 뒤를 물려받아 대()를 이으며,

869~872

祭祀蒸嘗(제사증상) ; 제사 제, 제사 사, 찔 증, 맛볼 상

                       ▲ 제사는 (일 년에) , , (, , 이렇게 네 번) 지낸다.

 

* 정실 적 ; 정실, 본처

                  ② 본처가 낳은 아들 = 적자(嫡子)

                  ③ 맏아들 적서(嫡庶) ; 적자(嫡子)와 서자(庶子)

 

* 뒤 후 ; , 자손 후손(後孫), 끝난 다음 전후(戰後)

               ② 늦다, 뒤지다 후발주자(後發走者)

적후(嫡後) ; 맏아들로 부모의 뒤()를 이어가다로 풀이가 된다.

 

* 이을 사 ; (뒤를)잇다

                   ② 상속자, 후임자

 

* 이을 속 ; (뒤를) 잇다 계속(繼續) ; 인구가 ~ 줄고 있다.

사속(嗣續) ; ()를 잇다./ 상속(相續) ; 유산을 이어 받다.

 

* 제사 제 ; 제사(를 지내다)

* 제사 사 ; 제사(를 지내다)

제사(祭祀) / 앞 절에서 등장한 연면어의 예를 여기에서 또 본다.

 

* 찔 증 ; (김을 올려) 찌다 훈증(燻蒸) ; 연기에 쬐어서 찌다.

               ② (겨울에 고기로 올리는) 제사

 

* 맛볼 상 ; (음식을) 맛보다 상담(嘗膽) ; 와신상담의 준말

                  ② (가을에 햇곡식으로 올리는) 제사

봄에 지내는 제사는 약(礿), 여름 제사는 체()라 했다. 따라서 일 년 제사 ...- 에서 약체가 생략됐음을 본다.

.....................................................................................................................................................................................................................................................

          앞 구절은 108절<교수돈족 열예차강>,  다음 구절은 110절<계상재배 송구공황>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