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

108절) 교수돈족 열예차강

한라오스 2021. 2. 17. 18:44

 

                                         제13<내칙(內則)> 99~114/108

857~860

矯手頓足(교수돈족) ; 바로잡을 교, 손 수, 조아릴 돈, 발 족

                       ▲ (술잔치에서) 손 들고 발 굴러 (흥겹게 춤추니),

861~864

悅豫且康(열예차강) ; 기쁠 열, 미리 예, 또 차, 편안할 강

                       ▲ 기쁘고 즐거워 몸과 마음이 편하고 걱정이 없도다.

 

* 바로잡을 교 ; 바로잡다 화살 시 변이 붙어있는 것은 원래 화살을 바로잡는 물건, 즉 도지개를 뜻하는

                                           글자로 시작되어 잘못을 바로 잡다 라는 뜻으로 발전 하였다. 죄인을 가두어 두고

                                     바로  잡는 곳을 요즈음에는 감옥 보다는 교도소(矯導所)라고 하는 연유가 여기에 있다.

                          ② 속이다 교거(矯擧) ; 거짓으로 공덕을 기리다

                          ③ 들다 교수(矯首) = 거두(擧頭) ; 머리를 들다

 

* 손 수 ; , 손으로 쥐다, 치다 수박(手搏) ; 맨 손 격투

                 ② 사람 가수(歌手)

                 ③ 솜씨, 기량 상수(上手)

교수(矯手) ; 손을 들어 올리다

 

* 조아릴 돈 ; 아래에 따로 설명

 

* 발 족 ; , 뿌리, 근본 족쇄(足鎖) ; 발목에 채우던 쇠사슬

                 ② 밟다, 디디다 족적(足跡) ; 경험해온 일의 자취

                 ③ 만족하게 여기다 흡족(洽足) ; 모자람 없이 만족함

돈족(頓足) = 발을 동동 구르다, 제자리걸음을 하다

 

* 기쁠 열 ; 기뻐하다, 즐거워하다 희열(喜悅) ; 기뻐하고 즐거움

 

* 미리 예 ; 미리, 사전에 기상 예보(豫報), 예측(豫測)

                    ② 즐기다, 기뻐하다, 놀다

열예(悅豫) = 열강(悅康) = 열락(悅樂) ; 기쁘고 즐거워하다.

       ↪ 열예(悅豫)처럼 두 글자로 한 뜻을 이루는 글자를 연면어(聯綿語)라 한다.

          배회(徘徊 - 이리저리 거닐다). 丁(정녕 - 틀림없이), 호접(蝴蝶 - 나비) 등도 그러하다. 

 

* 또 차 ; , 다시, 거듭하여 중차대(重且大) ; 중대하고 중대함

 

* 편안할 강 ; 몸과 마음이 편하고 걱정이 없다. 평강(平康)

                       ② 즐거워하다

                       ③ 5거리

    ↪ 康衢(강구) ; 길이 사통오달(四通五達)한 번화한 거리 康衢煙月(강구연월) ; 5거리 강 4거리 구

                                                                                           ㉢ 산수화에 끼인 노을 연 달 월

                      ↪ 번화한 거리의 안개 낀 흐릿한 달이란 뜻으로, 태평한 시대의 평화로운 풍경을 말한다.                            = 태평연월(太平烟月), 함포고복(含哺鼓腹), 고복격양(鼓腹擊壤), 모두 같은 말이다.

                                .......................................................................................

돈오돈수(頓悟頓修) ;

                                  頓 갑자기 돈, 깨달을 오

    △ 859 (조아릴, 갑자기 돈) ; 머리를 조아리다.

                                            ② 갑자기 돈오(頓悟) ; 수행(修行)의 단계를 거치지 않고 갑자기 깨달음

                                                                          ↪ 이와 관련된 불교의 수행은 아래와 같이 네 가지가 있다.

 

돈오돈수(頓悟頓修) ; 단번에 깨달아서 더 닦을 것이 없이 공행을 다 이루어 바로 부처의 경지에 도달하는

                               것을 말한다. 일반인의 경우에는 불가능한 경지이다.

돈오점수(頓悟漸修) ; 단번에 진리를 깨친 뒤, 번뇌를 차차 소멸시키는 것을 말한다.

점수돈오(漸修頓悟) ; 단계를 밟아서 차례대로 수행을 닦으면 결국은 어느 날 깨달음의 경지에 이르게 된다.

점수점오(漸修漸悟) ; 차츰 수행을 닦아 가면, 깨달음도 따라서 조금씩 나아가게 된다.

 

우리나라의 선불교는 돈오점수를 바탕으로 한다.

교회를 꾸준히 나가면 (차츰 수행을 닦아 나가면), 깨달음도 따라서 조금씩 나아져서 (점수 漸修), 예수님의 말씀을 실생활에서 실행 (점오 漸悟)하는 점수점오의 경지에 이르게 될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