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1절) 구선손반 적구충장
제13장 <내칙(內則)> ❉ 99절~114절/101절
△ 801~804
具膳飧飯(구선손반) ; 具 갖출 구, 膳 반찬 선, 飧 저녁밥 손, 飯 밥 반
▲ 식사하고자 상을 차려,
△ 805~808
適口充腸(적구충장) ; 適 맞을 적, 口 입 구, 充 찰 충, 腸 창자
▲ 입에 맞추어 배불리 먹네.
* 具 갖출 구 ; ① 갖추다, 온전하다, → 구비(具備)하다
② 설비, 준비, → 가구(家具) ; 집안 살림에 쓰는 기구
③ 먹을 것, 음식물
* 膳 반찬 선 ; ① 반찬,
② 찬을 차리어 권하다,
③ 먹다,
④ (희생)고기
↪ 선물(膳物) ; 남에게 축하나 고마움의 뜻을 담아 어떤 물건 따위를 선사함. 또는 그 물건.
여기 <선膳> 글자에 붙어있는 월月은 달이 아니라 고기 육(肉) 변이라 한다.
예로부터 (소)고기는 진귀한 물건이었다.
↪ 구선(具膳) ; 상을 차림
* 飧 저녁밥 손 ; ① 저녁밥, 속자는 飱
② 밥
③ 밥을 국이나 물에 말다 = 손(湌), 속자는 飡
→ 여기 손(飧)은 찬(餐 - 먹을 찬, 밥말 손)으로, 湌으로, 飡으로, 또 어떤 본에서는 飱으로 등
판본에 따라 다양하게 쓰였음을 본다. (餐 = 湌 = 飧)
* 飯 밥 반 ; 밥(을 먹다) → 조반(朝飯) ; 아침 밥
↪ 반점(飯店) ; ‘식당’의 중국식 칭호
↪ 흔히 중국식당 주인을 부를 때에 <짱궤>라 하는데 이 장궤의 본뜻은 다음과 같다.
장궤(掌櫃) ; ① 부자라는 뜻으로, 중국 사람을 속되게 이르는 말.
② 가게의 주인.
↪ 손반(飧飯) = 찬반(餐飯) ; 밥을 먹다, 식사하다.
* 適 갈 적 ; ① 가다, 도달하다,
② 만나다
③ 당연하다,
④ 맞다, 좋다 → 적당(適當)하다, 적재적소(適材適所)
* 口 입 구 ; ① 입
② 구멍 → 분화구(噴火口)
③ 말하다 → 구비전설(口碑傳說) ; 비석에 새긴 것처럼 오래도록 말로 전하여 내려온 전설.
↪ 적구(適口) ; 입에 맞다, 입맛에 맞다
* 充 가득할 충 ; ① 가득 차다 → 충분(充分)하다
→ 보충(補充) ; 부족한 것을 보태어 채움. • ∼ 설명, • 영양 ∼
② 흡족하여 물리도록 먹다.
* 腸 창자 장 ; ① 창자
② 마음 → 간장(肝腸) ; Ⓐ 간장과 창자.
Ⓑ 애가 타서 녹을 듯한 마음. • 구슬픈 두견 소리 일촌간장 다 끊는다.
↪ 충장(充腸) ; 마음에 흡족하도록 배불리 먹다.
◇ 적구충장(適口充腸) ; (호사한 식사가 아니더라도) 입맛 돋우어 배불리 먹어 흡족해 하면
(이것으로 족하다)라는 뜻으로 다음 절을 예비하고 있다.
.............................................................................................
◆ (희생犧牲) 고기 ; 집단 성원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는 제사에 제물로 바치는 소, 양, 돼지 따위의 산 짐승.
犧 희생 희, 牲 희생 생 글자에서 희/생 둘 다 소 우牛 변에 쓰였다는 걸 보면 기본적으로는
소를 제물로 하였음을 알 수가 있다.
이에서 특히 가죽을 제외한 짐승 전체를 제단 위에서 살라 연기로 바치는 희생 제사를
번제물(燔祭物, Holocaust - 홀로코스트)라 한다.
▲ 창세기 제22장 1절 ; 하느님께서 아브라함을 시험해 보시려고 “사랑하는 네 외아들 이사악을 데리고
모리야 땅으로 가거라 거기에서 내가 일러주는 산에 올라가, 그를 번제물로 나에게 바쳐라.”
▲ 제22장 16절 ; “ 네가 네 외아들마저 서슴지 않고 바쳐 충성을 다하였으니,....나는 너에게 더욱 복을 주어
네 자손이 하늘의 별과 바닷가의 모래같이 불어나게 하리라.”
................................................................................................................................................................................................................................................
앞 구절은 100절<이유유외 촉이원장>, 다음 구절은 102절<포염팽재 기어조강>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