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33절) 임심리박 숙흥온청

한라오스 2021. 1. 13. 11:59

                                             제5<수신(修身)> 26~ 33/ 33

257~260

臨深履薄(임심리박) ; 임할 임. 깊을 심. 밟을 리. 엷을 박.

                      깊은 못 가에 임하듯이, 살얼음을 밟는 듯이 (이 몸을 상하지 않도록 조심 할 것이며),

261~264

夙興溫凊(숙흥온청) ; 일찍 숙. 일어날 흥. 따뜻할 온. 서늘할 청

                      일찍 일어나서 (겨울에는 부모님을) 따뜻하게, (여름에는) 시원하게 (모셔라)

 

* 임할 림 ; 임하다, 낮은 사람에게로 나아가다 임계(臨界); 경계

                  비추다, 다스리다, 어루만지다

 

* 깊을 심 ; (생각이)깊다,심도(深到) ; 깊은 곳에 닿음

                  무겁다, 후하다

             (깊을 심) (찾을 탐)   (즐길 탐),  (가라앉을 침)

             深度(심도) ↪  探偵(탐정) 耽溺(탐닉) 沈沒(침몰)

 

* 신 리 ; , 신다, 밟다 예리성(曳履聲) ; 신발 끄는 소리

 

                                      < 예리성 > 청구영언 작자 미상

                               설월(雪月)이 만창(滿窓)한데 바람아 부지마라.

                               예리성(曳履聲) 아닌 줄은 판연(判然)히 알건 만은

                              그래도 그립고 아쉬운 적이면 행여 긘가 하노라!

                                                  설월(雪月) ; 흰 눈이 가득한 뜨락에 떠오른 달

                                                      만창(滿窓) ; 창가에 달빛은 가득하고

 

              행하다, 경험하다 이력(履歷) ; 지금까지 거쳐 온 학업, 직업 등의 내력. ┈• ∼을 쌓다, ┈• ∼이 화려하다

 

* 엷을 박 ; 엷다 여리박빙(如履薄氷) ; 살얼음을 밟는 것과 같다

                                                            두려워하여 조심함. 매우 위태롭고 아슬아슬한 지경의 비유

                  적다, 가볍다 박복(薄福) ; 복이 없음

                  천하다, 지위가 낮다 박명(薄命) ; 운명이 기구함

 

臨深履薄(임심리박) ; [詩經] 如臨深淵 여림심연 如履薄氷 여리박빙 에서 나온 말로

                             이 몸은 부모에게서 물려받은 소중한 몸임으로, 깊은 못에 임한 듯, 살얼음을 밟는 듯

                               조심해서 상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라는 뜻입니다.

앞에서 (19)145 蓋此身髮 개차신발 무릇 이 몸과 터럭과 피부는 (부모에게서 물려받은 것이어늘),

(20) 153 豈敢毁傷 기감훼상 어찌 감히 이 몸에 상처 하나라도 나게 하라! 라고 하는 구절의 연장입니다.

 

* 일찍 숙 ; (아침) 일찍,

                  옛날(부터)

 

* 일어날 흥 ; 일다, 일어나다 흥망성쇠(興亡盛衰) ; 흥하고 망함과 성하고 쇠함. 고려의 ~

                     흥취(興趣)

        輿(수레 여) ; 輿地(여지) = 輿圖(여도)= 輿地圖(여지도)=세계지도

 

* 따뜻할 온 ; 따뜻하다 온정(溫情) ; 따뜻한 인정

                     온화하다 온후(溫厚) ; 성질이 온화하고 독실함

                     익히다, 복습하다 온고지신(溫故知新) ; 옛 것을 익혀 미루어 새 것을 알다

 

* 서늘할 청 ; 서늘하다, 춥다

                     잘 쓰지 않는 글자입니다. 삼수변이 아니라 이수변이 붙어 있습니다.

                        삼수변 청()은 맑을 청입니다. 우리주위에서는 (푸를 청)과 함께 흔히 쓰이는 글자이지만

                        본 천자문에는 나오지 않습니다.

                     () ; <맑을 청> 글자인데 <서늘하다>라는 뜻으로 쓰이기도 합니다.

                                    이 때에는 앞서 본 청()과 같이 쓰입니다()

                                    으로 된 판본도 있습니다.

                     ❉ 608 (푸를 청) ; 靑果(청과) 신선한 과실과 채소

 

夙興溫凊(숙흥온청) ;

                              지금은 대부분의 가옥들이 자동 보일러 난방설비가 되어 있고, 난방비용 비중도

                              그리 크지 아니 하고, 지구 온난화로 매서운 겨울 추위도 덜하여 겨울에도 따뜻하게

지냅니다마는 1970년대 까지만 하여도 각별히 신경 쓰지 않으면 안 되었습니다. 부모들은 자식들 방이 따뜻한지를

살피고, 자식들은 연로한 부모님 방이 따뜻한지를 신경 써서 살펴드려야 했었습니다. 하니 고대에는 오죽 했겠습니까?

................................................................................................................................................................................................................................................

          앞 구절은 32절 <효당갈력 충즉진명>, 다음 구절은 <사란사형 여송지성>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