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

18절) 화피초목 뢰급만방

한라오스 2021. 1. 4. 11:19

                                        제 3장 치 세<治世> 14~ 18/ 18

137~140

化被草木(화피초목) ; 조화될 화, 입을 피,풀초, 나무목

                          (성군의) 덕화는 풀과 나무에 까지도 미쳐서,

141~144

賴及萬方(뢰급만방) ; 힘입을 뢰, 미칠 급, 일만 만, 모 방

                          그 보살핌이 온 세상에 미쳤도다.

 

* 될 화 ; 되다, 모양이 바뀌다 소화(消火)

                교화가 이루어져 백성의 풍속이 새로워지다.

                은혜, 풍속, 가르침 감화(感化) ; 좋은 영향을 받아서 생각이나 감정 따위가 바람직하게 변화함.

                ④ 고쳐지다 진화(進化)

 

* 이불 피 ; 이불,

      입을 피 ; 입다, 옷을 입다, 은혜 등을 입다

                           가피(加被) ; 부처나 보살이 사람들에게 힘을 주어 도와주다.

                      피해, 부상 등을 당하다

                      입는 옷의 총칭 피복(被服) ; , 의복,

 

* 풀 초 ; , 초원 초근목피(草根木皮) ; 풀뿌리와 나무껍질

               ② 천하다, 거칠다 초개(草芥) ; 지푸라기 →초개와 같은 인생

               시초 초안(草案) ; 초를 잡음. 또는 그 글발. 원안

                                             ┈• 연설문의 을 잡다, ┈• 계약서 을 검토하다.

 

* 나무 목 ; 나무

                  오행(五行)의 첫째, 생육(生育)의 덕이 있는 것으로, 방위로는 동(), 사철로는 봄(),

                                                  색깔로는 푸른 색(靑)

                           

* 힘입을 뢰 ; 힘입다, 도움을 입다

                     믿다, 의지하다 의뢰(依賴) ; 남에게 부탁하다

 

* 미칠 급 ; 미치다, 이르다 과유불급(過猶不及) ; 정도를 지나침은 도리어 미치지 못함과 같다.

                  , , 더불어, 함께 ()

 

* 일만 만 ; 일만

                  수가 많음, 다수 만방(萬方) ; 모든 곳

                                           만경창파(萬頃蒼波) ; 한없이 넓고 푸른 바다

                                           만학천봉(萬壑千峰) ; 수많은 골짜기와 봉우리

                                           만화방창(萬化方暢) ; 봄이 되어 만물이 바야흐로 창성함

 

* 모 방 ; 네모, , 사방 방주(方舟) ; 네모난 모양의 배

               , 대지, 나라 방외(方外) ; 범위 밖

               방법, 수단 방책(方策) ; 방법과 꾀

               의술, () 약방문(藥方文) ; 약을 짓기 위해 약 이름과 분량을 적은 종이. 사후(死後) 이라.

                ........................................................................

 

만경평야 (萬頃平野) ; 밭 넓이 단위 경 (현재로는 약 1만평)

                                만경평야는 만경강 유역인 전라북도 김제시, 군산시, 익산시, 완주군에 걸쳐 펼쳐진 평야이다만경평야와 동진강 유역의 김제평야를 합쳐 호남평야라고 부르기도 한다. 남한 유일의 평야다운 평야이다.

우리나라에서 지평선을 볼 수 있는 유일한 곳이기도 하다. 만경평야는 과거에 홍수와 가뭄이 심하여 제대로 농사를

지을 수 없었다. 만경평야가 본격적으로 개발되기 시작한 것은 1920년대에 일제가 대아저수지 (大雅貯水池)를 축조하고,

대규모 관개용 수로를 건설하면서 부터이다.

 

현재 군산에서 부안에 이르는 서해안에서는 초대형 간척사업인 새만금사업 이 추진되고 있다. 새만금사업은 군산에서 부안을 연결하는 세계 최장의 방조제를 축조하여 간척지 283와 호수 118를 조성하는 대규모 국책 사업이다.

새만금 방조제는 1991년 착공하여 19년 동안의 사업기간을 거쳐 2010년 역사적인 방조제 준공식을 거행하고 세계 최장 방조제로 기네스북에 등재되었다. 그 길이가 무려 33.9 Km 에 달한다.

 

  * 간석지(干潟地) ; 조수 간만의 차이 - 조차(潮差)가 큰 해안에서 밀물 때에는 침수되고 썰물 때에는 드러나는

                            해안 퇴적 지형을 갯벌이라고 하고 한자어로는 간석지라 한다.

      간척지(干拓地) ; 호수나 바닷가에 제방을 쌓아 그 안의 물을 빼내고 육지로 만들어 진 땅을 간척지라 한다.

..........................................................................................................................................................................................................................................

       ** 천자문 일천글자 속에는 봄, 여름, 가을 겨울, 춘하추동 4 계절 중에서 봄 춘 (春) 글자가 없답니다.

           앞 구절은 17절 <명봉재수 백구식장> , 뒷 구절은 19절<개차신발 사대오상> 입니다.